P.93 

             제 15장   강조. 삽입. 끊어읽기

                 --------------------------

                        1. 억양에 의한 강조 

                        2. 순서에 의한 강조 

                        3. 첨가에 의한 강조

                        4. 삽입과 끊어 읽기

                --------------------------

 

                         강의 듣기 (동영상)

 


   이 땅에서 지난 수십년 동안 영어교과서에서 지도하였던 억양(intonation)이 학생들에겐 지옥과 같았다. 개정영문법이 이 지옥을 사라지게 하였다. 사람들은 자주 말하기를 "영어는 억양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영어만 그러한 것이 아니고 모든 언어가 마찬가지다.

 

        1. 억양에 의한 강조

A. 억양이란?

  화자가 강조<의도>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의사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부분을 강하게<큰 소리로, 명백하게, 또박또박, 천천히, 빨리 또는 음악적으로 발음>하는 모든 것을 총칭하여 억양이라 할 수 있다.


B. 억양의 형성요인과 성격.

  억양 형성의 첫째 요인은 「강조」 때문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화자(話者)의 감정이나 그가 처해 있는 상황이나 분위기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억양에는 일정한 틀이 있는 것이 아니고 화자의 기분이나 의도에 맡겨지는 것이다. 학습자는 영어<외국어>의 낱말과 그 배열법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천차만별의 억양법에 자연스럽게 적응하게 된다. 억양의 형태가 그 얼마나 다양하고 자유로운 것인가에 대해서는 수많은 가사의 곡이나 우리말의 이치를 생각해 봐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C. 억양의 일반적 형태.

  1) 강조 ㅡ 어떤 문장 속에서 특히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강하게 발음.

      I   met   Tom   in the park  yesterday.

      1    2     3         4            5

   위 5 가지의 말 중에서 어느 부분을 얼마만큼 큰 소리로 높여서 말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서 화자가 결정할 문제이다. 그 누구도 간섭하지 못한다.


  2) 의문문의 억양. -- 조동사나 be동사로 시작되는 의문문, 다시 말해 Yes나 No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은 끝 부위를 올려주고,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은 끝 부위를 낮추어서 말하는 것이 일반적일 뿐 의무는 아니다. 단, 부가의문문의 끝 부분은 화자의 자유다.


Page 94  

우리말과 꼭 같다. 수많은 형태의 억양만큼이나 억양이 주는 말의 느낌과 의미도 다양할 뿐이다.

 


D. 상황적 억양 어떤 상황에 의해 억양이 결정되는 경우.

      * 다음 밑줄 친 부분은 큰 소리로 높여서 말한다.


   1. A: What is your name?

      B: My name is Tom Brown. 자신의 이름을 크게 대답.

   2. A: Where do you live?

      B: I live in Jejudo.             사는 장소를 또렷이 말함

   3. A: By whom was this book written?

      B: It was written by Mark Twain이름을 명백히 대답

   4. A: Can you swim?

      B: Yes, I can.    No, I can't.   Yes와 No를 분명히 함

   5. A: How do you do?

      B: How do you do?

   6. A: How are you?

      B: I'm fine, thanks. And you? (= And how are you?)

   7. A: Where did you go yesterday?

     B: I beg your pardon?↗(= Pardon me?↗)  말끝을
         I couldn't hear you.                     올려서 묻는다     

   8. I do believe what he said.          do: 긍정 강조

     I don't believe what he said.       don't: 부정 강조

   9. Which do you like better, summer or winter?

 

 【참고 1990년 3월 “교과서의 잘못된 억양지도”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여 재래영문법의 잘못된 억양표시에 대해 가혹한 비판을 하였다. 이치에 닿지도 아니한 억양법을 학습자에게 암기를 강요하여, 중간고사 기말고사 때마다 반드시 1~2문항 출제까지 하여 무거운 짐이 되게 하였으며 또한 학습자의 타고난 언어습득력과 창의력을 마비시켜 엄청난 낭비와 역효과를 초래했다는 지적이었다.

  흔히 “영어의 억양은 매우 중요하다”라는 말은 마치 “우리말의 억양은 중요하지도 않다”는 말처럼 느껴지게 하는데, 그 중요성은 전혀 차이가 없다. 그러나 우리말의 억양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우리말의 억양원리는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사람에 따라 혹은 상황에 따라서 억양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생각해보면 간단히 끝날 문제가 아닐까?


P. 95 

           2. 순서에 의한 강조

  우리말도 그렇지만, 문장의 일반적인 어순을 다소 어기고서라도 어떤 중요한 말을 먼저 하려는 경향이 있다. 반드시 강조를 위한 이유만은 아님. 그러나 수식과 피수식 이론을 벗어나지 못한다.

  1. His name is Tom. → Tom is his name.

  2. Health is the most important.→ The most important is health.

  3. An interesting book is here.→ Here is an interesting book.

  4. The pen is on the desk. → On the desk is the pen.

  5. I met Tom in the park.
       → (It is)
Tom (that) I met in the park.

       → (It is) In the park (that) I met Tom.

       → (It is) I (that) met Tom in the park.  

 12. She had seen me no sooner than she began to cry.

     → No sooner had she seen me than she began to cry.

 13. You can't imagine how nice it is.

     → How nice it is you can't imagine.

 14. An old man lived by the sea.

     → There lived an old man by the sea.

 15. I am not, either. → Neither am I.  * neither = not either

 16. I never thought (=never did think) such a thing.
     →
Never did I think such a thing.


 


        3. 첨가에 의한 강조

 

A. 수식어 첨가

  1. What on earth do you want?   (도대체 무엇을)   

  5. Do come here.          (오란 말이야)       

  6. Who does believe such a thing?  (이런 것을 누가 믿는담?)

 

B. 같은 말 반복 (첨가, 추가)

  1. They walked on and on. (자꾸자꾸, 계속)

  2. They walked and walked(걷고 또 걸었다)

  6. He became more and more interested in it. (더 더욱 흥미를 가졌다)

 

           4. 삽입과 끊어읽기


A. 삽입 문장 속에 새로운 단어, 구, 절을 추가로 끼워 넣는 것.

  1. He is, I believe, an honest man.

  2. Honesty, says a proverb, is the best policy.

  3. The problem, it seems to me, is not so simple.

  4. We should, if possible, finish it today.

  5. Jack, her brother, is a good swimmer.

  6. The man, who they thought was a beggar, turned out to be the(a) king. 



P. 96  

B. 끊어읽기<말하기> 끊어 읽기는 영어뿐만 아닌 모든 언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다지 어려운 문제는 아니므로 힘들여 학습할 일은 없다. 대개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에 따르지만 상황이나 화자의 의도에 따라 너무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수많은 노래의 가사를 노래하면서 생각해 보다면 끊어읽기의 범위가 어떤 것인지를 짐작함에 참고가 될 것이다. 끊어 읽기<말하기>에 대해서는 몇 가지 공식이나 이론으로 습득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영어를 말해보고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그리고 쉽게 터득되는 것이다.
  
(학교 영어시험에서 끊어읽기 대하여 문제로 출제하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할 것이다. 억양문제처럼
학습자의 타고난 언어습득력과 창의력을 마비시키는 것이었다.)

       음소<음절> 사이에 끊어 읽는다<말한다>.

   1. 원칙적으로 단어와 단어 사이에 끊어 읽는다.     

   2. 원칙적으로 쉼표나 마침표가 있는 곳에 끊어 잃는다.
        (쉼표 마침표의 본래 기능 그대로).

   3. 원칙적으로 의미집단<구,절> 사이에 끊어 읽는다. 
   4.
의사전달에 문제가 없다면 위 모든 원칙을 어긴다.   


 ** 입으로 말을 할 때는 시간의 간격으로 끊어 말하기가 이루어지겠지만 글로 의사를 표현할 때는 그것이 불가능하므로 쉼표나 마침표를 잘 이용한다. 끊어 말하기<쓰기>의 방식에 따라서 말의 의미가 크게 바뀌는 경우도 많으므로 쉼표의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쉼표는 끊어읽기 외에도 말의 연결을 차단하거나 의미를 압축하는 등의 기능도 지닌다.

  1. Tom said Jack is a fool.   (쟄은 바보라고 탐이 말했다.)

  2. Tom, said Jack, is a fool. (탐은 바보라고 잭이 말했다.)


<참고> 필자가 중 고등학교 시절에 영어의 끊어 읽기에 대한 여러 가지 근거없는 엉터리 공식들을 암기하면서 시험까지 치르곤 하였던 악몽 같은 기억을 잊을 수 없다.

 

   

 

 

 

이 책 개정영문법은 저작권 공증되었습니다. 무단 복제는 법률로 금지합니다. 이곳은 개정영문법 전자서적입니다. 개정영문법은 먼저 종이 책으로 나왔고 많은 사람들이 구매하였습니다.